맨위로가기

플리머스 형제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리머스 형제단은 1825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시작된 기독교 운동이다. 이 운동은 성경을 유일한 기준으로 삼고, 예배 의식이나 사역자 없이 성만찬을 함께 하는 것을 특징으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존 넬슨 다비, 앤서니 노리스 그로브스 등이 중심 인물이었으며, 예언 연구가 신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플리머스 형제단은 이후 교리 및 교회 조직에 대한 의견 차이로 개방형 형제단과 배타적 형제단으로 분열되었다. 개방형 형제단은 지역 교회의 자율성을 존중하며 다른 기독교 단체와 협력하는 반면, 배타적 형제단은 고립주의적인 경향을 보인다. 한국에서는 1959년 미군 부대의 선교를 통해 시작되었으며, 개방형 형제단을 중심으로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영국 정부와의 코로나19 관련 계약 논란으로 주목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근본주의 - 킹 제임스 성경
    킹 제임스 성경(KJV)은 1611년 제임스 1세의 명령으로 47명의 학자들이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전을 바탕으로 번역하여 영국 성공회의 공식 성경이 되었으며, 고풍스러운 문체와 웅장한 어휘로 영어 문학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원문 선택과 번역 정확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1769년 옥스퍼드판이 표준 본문으로 자리 잡았다.
  • 기독교 근본주의 - 전광훈
    전광훈은 사랑제일교회 담임목사이자 기독교 우파 성향의 정치 운동가로,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과 기독사랑실천당 대통령 후보를 역임했으며 현재 자유통일당 대표를 맡고 있다.
플리머스 형제단

2. 기원

형제운동은 1825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시작되었다. 트리니티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던 치과의사 앤서니 노리스 그로브스, 의학을 공부하던 에드워드 크로닌, 위클로 주 성직자 존 넬슨 다비, 변호사 존 기포드 벨렛 등이 중심 인물이었다. 이들은 예배 의식, 순서, 사역자 없이 "오직 성경"을 따르는 모임을 가졌다.[62][3]

2. 1. 초기 신학

1831년부터 위클로 주 파워스코트 저택에서 시작된 예언 연구는 초기 신학에 중요한 자극이 되었다. 파워스코트 부인은 헨리 드러먼드가 앨버리 공원에서 개최한 예언 컨퍼런스에 참석했고, 존 넬슨 다비는 1831년에 에드워드 어빙과 동일한 환난 전 휴거 견해를 옹호했다.[4] 벤자민 윌스 뉴턴, 조지 뮬러를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모임에 참석했고, 그들은 영국 운동에서 중요한 인물이 되었다.

3. 형제 교회의 분열

개방적인 형제교회(Open Brethren)와 폐쇄적인 형제교회(Exclusive Brethren)의 분열은 예언과 교회 조직에 관한 의견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존 넬슨 다비플리머스 교회의 장로였던 벤자민 윌스 뉴턴을 신학적 오류를 이유로 공격했다. 이 과정에서 브리스톨의 베데스다 교회에서 뉴턴과 무관한 인물들을 받아들인 조지 뮐러와 헨리 크레이크가 다비의 비판을 받았다.[7] 이로 인해 베데스다 교회는 다비로부터 분리되었고, 여러 모임들은 독립적이거나 회중적인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11]

1845년, 스위스에서 교회를 설립하고 돌아온 다비는 뉴턴의 저서 내용과 장로 지위에 반대했다. 1848년, 다비는 브리스톨 베데스다 회중에 불만을 제기하며 베데스다와 관련된 모든 모임을 단절시키는 서한을 발표했고, 이는 "배타주의"의 특징을 정의하는 사건이 되었다.[11]

1848년부터 형제단은 배타적 형제단(다비가 이끌었음)과 개방형 형제단(뮐러 등이 이끌었음)으로 나뉘었다.[12] 스코틀랜드아일랜드 출신 순회 설교자들은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초기 개방형 형제단 모임을 설립했다.[13] 이후 배타적 형제단은 여러 차례 분열과 재결합을 겪었고, 개방형 형제단 역시 모임의 자율성을 둘러싸고 분열을 경험했다. 1916년에서 1919년 사이 미국에서 배타적 형제단 신자 수는 33%(3,896명), 개방형 형제단 신자 수는 25%(5,928명) 증가했다.[14]

3. 1. 개방형 형제단 (Open Brethren)

개방형 형제단은 독립적인 지역 교회들의 네트워크로 기능한다. 1848년부터 형제단은 존 넬슨 다비가 이끈 배타적 형제단과 조지 뮬러 등 여러 명이 이끈 개방형 형제단의 두 주요 운동으로 분리되었다. 형제단은 일반적으로 다른 관련 집회의 징계 조치를 인식하고 준수해야 할 의무를 느낀다. 징계를 받는 이유는 심각한 성경적 또는 교리적 오류를 유포하거나 비성경적인 행동에 연루되었기 때문이며, 불법적인 재정 거래 혐의를 받는 것 또한 징계 사유가 될 수 있다.[15][16]

개방형 형제단과 다른 기독교인과의 협력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많은 개방형 형제단은 형제단 소속이 아닌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와 협력하여 복음 집회, 청소년 행사 등을 개최하지만, 보수적인 형제단은 자체 모임 외의 활동을 지원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3. 1. 1. 국제 선교 형제단 컨퍼런스 (IBCM)

국제 선교 형제단 컨퍼런스(IBCM)는 1993년 여러 국가의 교회 연합에 의해 싱가포르에서 설립되었다.[17] 2020년에 발표된 IBCM 네트워크 조사에 따르면, 155개국에 40,000개의 교회와 2,700,000명의 신도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8]

3. 2. 폐쇄형 형제단 (Exclusive Brethren)

폐쇄형 형제단은 존 넬슨 다비의 교리에 얽매여 있으며,[19] 더 보수적이고 상호 의존적이다.[21] 이들은 옷차림 규율에 대한 성향을 보이며, 예배와 설교의 즉흥성을 중시한다. 폐쇄형 형제단은 여러 분파로 나뉘어 있으며, 그중 가장 강경한 분파는 플리머스 형제단 기독교 교회(PBCC)이다.

1848년부터 형제단은 배타적 형제단(다비가 이끌었음)과 개방형 형제단(조지 뮐러 등 여러 명이 이끌었음)이라는 두 개의 주요 운동으로 분리되었다. 다비는 1862년부터 1877년 사이에 미국 내 배타적 모임을 일곱 번 방문했다.[12] 스코틀랜드아일랜드 출신의 순회 설교자들이 19세기 후반에 미국에서 초기 개방형 형제단 모임의 대부분을 설립했다.[13] 1916년에서 1919년 사이에 미국에서 배타적 형제단 신자 수는 33% 증가하여 3,896명이 되었고, 개방형 형제단 신자 수는 25% 증가하여 5,928명이 되었다.[14]

3. 2. 1. 플리머스 형제단 기독교 교회 (PBCC)

플리머스 형제단 기독교 교회(PBCC)는 2023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5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한다.[22] 이들은 악으로부터의 분리 및 교제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특히 고립주의적인 해석으로 유명하다. 이들에게 교제는 친교(주의 만찬) 행위뿐만 아니라 외식, 사업 및 전문 파트너십, 클럽 회원 등을 포함하므로 이러한 활동은 다른 회원과만 수행된다. 레이븐-테일러-헤일스 그룹과 관련이 없는 여러 분파도 존재하며,[23] 이들은 더 강경한 그룹과의 연관성을 피하기 위해 배타적 형제단보다는 폐쇄적이거나 신중하다는 표현을 선호한다.

4. 특징


  • 하나님 앞에 자신이 죄인임을 깨닫고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을 의뢰하는 믿음을 가졌는지 확실하게 검증된 자만 성도로 영접한다.[62]
  • 거듭난 성도들과 하나님께 은사를 받은 장로가 성령님의 인도로 세워져서 모임이 운영되고 있으며, 누구든지 성도는 제사장이라는 원리를 적용하여 기독교 기성 교단의 조직 체계(목사-평신도)라는 계급적인 병폐를 거부하고 있다. 또한 교단을 형성하지 않고 개별 교회가 하나님 앞에 책임이 있다는 믿음을 따른다.[62]
  • 교회 일을 전임하는 장로 형제에게 지급되는 보수는 각 지역교회마다 다르며, 일부 교회는 성도들의 연보에 의해 주어지고 일부 교회는 정해서 지급되기도 한다. 재정이 어려운 교회는 자비량하여 해결하기도 한다.[62]
  • 존 넬슨 다비, 매킨토시, 조지 위그람 등의 유명한 성서학자, 짐 엘리엇 선교사, 조지 뮐러, 디엘 무디 등의 복음전도자들을 다수 배출하였다.[62]
  • 연보는 무기명을 철칙으로 하며, 의무가 아니라 감사함으로 드리는 것이 성경적이며 합당하다고 생각한다.[62]
  • 매주일마다 성찬예배를 하는데, 형제들이 주보 순서에 의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성령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찬송과 감사기도를 한 후 떡과 잔을 나눈다.[62]
  • 믿음을 간증한 새신자들을 검증하여 침례식을 행한다.[62]
  • 타 지역 교회로 이동할 때는 장로 형제의 추천으로 사는 곳의 가까운 교회로 옮긴다.[62]
  • 신도 중 여성은 머리에 모자나 수건을 사용하여 머리를 가려 천사들과 남자들의 머리가 예수 그리스도라는 성경 말씀(고린도전서 11장 10절)을 지금도 유효하다는 믿음을 따른다.[62]

5. 한국의 형제 운동

한국의 형제운동은 1959년에 회심한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1958년을 전후하여 부평 미군 교회(ASCOM Chaple)에서 영어를 배우러 갔던 한국 젊은이들에게 미군 병사들의 신앙이 전해졌고, 이들이 개방적인 형제교회(Open Brethren) 선교사들과 연결되면서 한국에서의 형제운동이 시작되었다. 국내 플리머스 형제단은 주로 개방적 형제 교회이며, 폐쇄적인 형제교회(Exclusive Brethren)와는 교류하지 않는다.

5. 1. 한국으로의 전래 과정

윌버 매카피(Wilbur Thompson McAfee, 1917~2009)는 한국에 파송된 최초의 형제단 선교사이다. 그는 직접 농장을 운영하면서 한국 농촌 계몽에 이바지하였다. 또한 경기도 용인군에 남사중학교를 설립하였고, 경기도 화성군 기오산읍에 오산기독병원을 설립하여 의료선교활동을 활발하게 하였으며, 1974년에는 경기도 사후동에 무료요양소를 개설하여 결핵 환자들과 지체장애인들을 수용하고 치료하는 의료봉사를 하였다.

1961년에 12명이 경상남도 거창 장팔리에 교회를 세웠는데, 후에 교회 성도였던 이들이 여러 지역으로 나가서 교회를 세웠다. 1963년 매카피는 경기도 평택으로 이주하여 사후동에 선교학교를 개설하여 젊은이들에게 성경을 가르치고, 그들에게 농촌운동과 선교사명을 일깨워서 여러 지역으로 파송하였다. 1965년 매카피는 미국으로부터 한국 엠마오성경 통신학교를 인가받아서 문서선교사역을 시작하였다. 1968년에는 미국의 선교기관인 CMML(Christian Missions In Many Lands, Inc.)의 지원으로 보건사회부 한국기독교 선교부를 승인받아 의료선교활동을 하였다. 한국 선교를 위하여 20년을 헌신한 매카피는 건강이 악화되어 1979년에 귀국하였다가 2009년에 생애를 마감하였다.

에드윈 아서 제임스(Edwin Arthur James, 1912~1988)는 웨일즈 북부의 뱅고시(Bangor City)에 있는 센터럴홀(Central Hall)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다가 1962년 5월에 50세의 늦은 나이로 일본을 거쳐 부산에 상륙하였다. 제임스는 그곳에 마중 나온 매카피를 따라 거창에서 잠시 머물다가 8월에 서울로 올라갔다. 그리고 부평의 미군부대에서 회심한 청년들과 1962년 10월부터 장충동에서 모이기 시작하였다. 이것이 서울에서 세워진 첫 번째 형제단 교회인 노량진교회의 전신이며 시작이었다. 제임스는 1960년대 중반부터 1973년까지 대형천막과 조립식 의자를 자신이 직접 설계하여 만들어서 트럭에 싣고 다니면서 전국에 순회집회를 하였다. 이처럼 한국에서의 형제운동이 활발히 진행되자 세계 곳곳에서 여러 선교사들이 한국에 들어와서 협력하였다.

한국에서의 형제운동은 한국에서 자생적으로 일어난 것이 아니라 기독교회사에서 검증된 복음주의적 운동이 선교사들에 의하여 전파된 것이다. 한국의 형제단은 이러한 형제단에서 파송된 선교사들에 의하여 세워졌고 그들과 같은 정신과 원리를 가지고 있으며, 전 세계의 형제단과 국제적인 교류를 하고 있다는 면에서 19세기에 일어난 형제운동의 역사적 선상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개방적인 형제교회(Open Brethren)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침례를 주고 장로를 인정하며 무엇보다도 지역교회의 독립과 자율성을 존중한다는 면에서 개방적인 형제교회의 맥을 잇고 있다.

5. 2. 한국에서의 형제 운동의 전개

한국에서의 형제단 교회는 1961년 경상남도 거창 장팔리에서, 서울에서는 1962년 장충동에서 첫 모임이 시작되었다. 이후 한국에서 형제운동은 활발하게 진행되어 2014년 3월 기준으로 230개 교회가 세워졌으며,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지역교회 수
서울39개
강원11개
경기60개
충청25개
영남47개
호남44개
제주4개



1990년을 전후하여 해외 선교사역을 시작하여, 현재 29명의 선교사가 아래의 여러 나라에서 활발하게 선교하고 있다.



또한,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독일, 일본, 대만, 인도, 남미, 동남아시아 등 세계 여러 나라의 형제단과 국제적인 교류를 하며 타문화권 선교에도 협력하고 있다.

Emmaus Bible College(미국 IOWA 소재)의 한국 분교도 같은 시기에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지역교회들이 연합하여 설교 및 성경연구 자료 동영상을 무료로 제공하는 GNTV 인터넷 사이트(www.gntv.or.kr)도 개설되었다.

6. 영국 정부 코로나19 계약 논란

플리머스 형제단 기독교 교회(Plymouth Brethren Christian Church)로 알려진 배타적 형제단과 연관된 회사들이 영국 정부의 보건 사회 복지부로부터 22억파운드 상당의 코로나19 관련 계약을 체결했다. 여기에는 개인 보호 장비(PPE) 제공도 포함되었다.[38][39] 이 교회의 몇몇 전 신도들은 보수당과 연관되어 있으며, 국회의원들은 이 교회가 자선 위원회로부터 영국 자선 단체 지위를 받도록 로비를 벌였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38][39]

7. 저명한 형제단 인물

다음은 저명한 형제단 인물 목록이다.

8. 형제단을 소재로 한 작품

형제단을 소재로 한 작품은 다음과 같다.

8. 1. 영화

영국프랑스 합작 영화인 리틀 램보(2007년)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the history of the 'Brethren'? http://brethrenonlin[...] 2009-06-12
[2] 서적 Assembly Distinctives https://archive.org/[...] Everyday Publications
[3] 서적 Handbook of Global Contemporary Christianity: Movements, Institutions, and Allegiance BRILL 2016
[4] 서적 Chapter 3: Edward Irving (1792–1834) The Origins of the Rapture Doctrine http://www.cc-vw.org[...]
[5] 간행물 Open to Closed: The Growth of Exclusivism among Brethren in Britain, 1848–1953 http://www.brethrenh[...] 1997
[6] 문서 See Grayson Carter, "Irish Millennialism: The Irish Prophetic Movement and the Origins of the Plymouth Brethren", in Anglican Evangelicals. Protestant Seceders from the via media, c.1800-1850 (2001/15).
[7] 서적 A Story of Conflict: The Controversial Relationship Between Benjamin Wills Newton and John Nelson Darby Paternoster Press
[8]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History of the Brethren https://archive.org/[...] Knapp
[10] 인용
[11] 인용
[12] 서적 The Roots of Fundamentalism: British & American Millenarianism, 1800-193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13] 문서 Piepkorn 1970, p. 5.
[14] 서적 Religious Bodies, 1916, Part II: Separate denominations https://books.google[...] 2012-06-12
[15]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in the South Mercer University Press 2005
[16]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2010
[17] 서적 The Growth of the Brethren Movement: National and International Experiences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6
[18] 웹사이트 IBCM Network https://www.ibcm.net[...] 2020-08-22
[19]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2010
[20] 서적 The Plymouth Brethren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21] 서적 Introducing World Christianity John Wiley & Sons 2012
[22] 웹사이트 Main Page https://www.plymouth[...] 2023-06-03
[23] 웹사이트 BrethrenPedia https://brethrenpedi[...] 2023-06-03
[24] 서적 The Plymouth Brethren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25] 서적 The religious forces of the United States enumerated, classified, and described; returns for 1900 and 1910 compared with the government census of 1890: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https://archive.org/[...] C. Scribner’s Sons 1912
[26] 문서 Religious Bodies 1916, pp. 169-176
[27] 서적 Religious Bodies, 1936, Volume II, Part I, Denominations: A to J https://archive.org/[...]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41
[28] 간행물 Plymouth Brethren (Christian Brethren) http://www.bruederbe[...] 2020-02-20
[29] 서적 Profiles in Belief: The Religious Bodie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Volume IV: Evangelical, Fundamentalist, and Other Christian Bodies Harper & Row 1979
[30]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Brethren" http://www.discourse[...] Victory Press 1968
[31] 문서 Introvigne 2018, pp. 61-89.
[32] 문서 McDowell 1968, p. 10.
[33] 웹사이트 Dendrogram http://www.discourse[...]
[34] 웹사이트 Ephesians 4 Darby's Bible Synopsis https://biblehub.com[...]
[35] 웹사이트 Defining Religion In American Law http://www.icrf.com/[...] 2009-07-18
[36] 웹사이트 Elders and Bishops http://www.days.org/[...] 2009-07-18
[37] 웹사이트 The Priesthood of All Believers http://www.battereds[...] 2009-07-18
[38] 뉴스 Billions in Covid deals given to firms linked to Plymouth Brethren sect https://www.thetimes[...] 2022-02-05
[39] 웹사이트 Up to £1.1 Billion in Government PPE Contracts Awarded to Firms Linked to Religious Sect https://bylinetimes.[...] 2022-02-05
[40] 웹사이트 Plymouth Brethren {{!}} History, Belief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3-17
[41] 웹사이트 BBC – Religion & Ethics – Exclusive Brethren: Introduction http://www.bbc.co.uk[...] Bbc.co.uk 2010-10-24
[42] 웹사이트 The Septuagint LXX http://www.ccel.org/[...] Ccel.org 2010-10-24
[43] 웹사이트 Brother Indeed – Robert Chapman " Articles & Links http://plymouthbreth[...] Plymouthbrethren.wordpress.com 2010-10-24
[44] 웹사이트 Edward Cronin (1801–?) – Pioneers of homeopathy by T. L. Bradford http://www.homeoint.[...] Homeoint.org 2010-10-24
[45] 웹사이트 The Brethren Writers' Hall of Fame http://www.newble.co[...] Newble.co.uk 2010-10-24
[46] 웹사이트 Dnzb.govt.nz http://www.dnzb.govt[...] 2010-10-24
[47] 웹사이트 How I lost my faith. Interview (in German) with Ken Follett about his childhood in a Brethren assembly in Wales http://www.rp-online[...] 2018-01-17
[48] DCB Gosse, Philip Henry http://www.biographi[...]
[49] 웹사이트 About Anthony Norris Grove http://web.ukonline.[...] Web.ukonline.co.uk 2010-10-24
[50] webarchive http://www.gotell.gr[...] 2007-12-17
[51] 웹사이트 Charles Henry Mackintosh Bio http://www.stempubli[...] Stempublishing.com 2010-10-24
[52] 웹사이트 History http://www.mullers.o[...]
[53] 웹사이트 Laymansfellowship.com http://www.laymansfe[...]
[54] 웹사이트 Biography of Thomas Newberry http://www.newblehom[...] Newblehome.co.uk 2010-10-24
[55] 웹사이트 Wellington – NZ News, World News, Stories & Opinions https://www.wellingt[...]
[56] 웹사이트 Mr. Newton and the "Brethren" http://www.spurgeon.[...] Spurgeon.org 2010-10-24
[57] 웹사이트 Wordsearchbible.com http://www.wordsearc[...] 2010-10-24
[58] 웹사이트 GV Wigram Bio http://www.stempubli[...] Stempublishing.com 2010-10-24
[59]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60] 간행물 The Rapture of the Church http://ns.nwts.edu/ Northwestern Theological Seminary 2010-06-27
[61] 기타 Preaching tours and missionary labours of George Mueller 1883
[62] 서적 Handbook of Global Contemporary Christianity: Movements, Institutions, and Allegiance BRILL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